2025/04/25 2

Spring Security 인가 DSL 메서드 정리

메서드 분류 설명 핵심 차이permitAll()인가 DSL (Authorization DSL)인증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허용토큰 없어도 허용, 로그인/회원가입 등 공개 API에 사용authenticated()인가 DSL인증된 사용자만 접근 가능큰 있어야 허용, 로그인 이후 사용자 전용 APIhasRole("ADMIN")인가 DSLROLE_ADMIN 역할을 가진 사용자만 접근 가능인증 + "역할" 기반 제한hasAuthority("ROLE_ADMIN")인가 DSLROLE_ADMIN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접근 가능인증 + "권한" 문자열 기반 제한, hasRole보다 더 유연함denyAll()인가 DSL모든 사용자 접근 차단, 주로 테스트나 임시 비활성화용항상 차단됨, 모든 접근 불가

웹 개발/Spring 2025.04.25

@PathVariable VS @RequestBody VS @RequestParam 사용하는 경우

@PathVariable을 사용하는 경우URL 경로에 포함된 리소스 식별자를 받을 때 사용.REST API에서는 "어떤 리소스에 접근할 것인지"를 URL로 표현하기 때문.예시:GET /users/42@GetMapping("/users/{id}")public ResponseEntity getUser(@PathVariable Long id)→ id는 리소스를 식별하는 값이므로 @PathVariable로 받기.@RequestBody를 사용하는 경우JSON이나 Form 데이터 같은 복잡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.주로 POST, PUT, PATCH처럼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.예시:POST /usersContent-Type: application/json{ "name": "홍길동", ..

웹 개발 2025.04.25